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or Graduate Student/MS Office & HWP6

[ALPDF 사용] PDF 파일 워드로 변환하기 pdf 뷰어로 ALPDF를 주로 사용하는데, ALPDF 만큼 편리한 기능이 많은 PDF 뷰어는 없는 것 같다. 그 중에서 논문 볼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소개하려고 한다.참고하려는 Key Reference 논문의 표나 그림을 긁어올 때 단순히 캡쳐하지 말고, 원본 파일을 가져오도록 해보자. 상단에 큰 메뉴에서 [변환] 버튼을 누르면 다른 확장자로 변환할 수 있는데, 이 기능이 얼마나 쓸모 있냐면   워드로 변환했을 때 기본적인 구조, 글씨체, 페이지가 하나도 깨지지 않고 가지고 올 수 있다.(단 국문 논문의 경우 종종 한국어가 깨짐) 1. 표와 그림표와 그림은 모두 복사/붙여넣기 가능한 형태로 받아올 수 있다.표는 pdf에서 설정한 표 서식을 그대로 따른다. 2. 하이퍼링크단, pdf에 설정된 하.. 2024. 6. 3.
[PPT] 파워포인트 파일 용량 줄이기 종종 파워포인트 용량을 줄여야 하는 순간이 있다. 보통 알 수 없이 파워포인트의 용량이 큰 이유는 [1] 폰트 [2] 이미지 때문인데, 각 원인에 따라 파일 용량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1] 폰트 용량 오른쪽 상단의 [파일] >> 오른쪽 맨 아래의 [옵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 [옵션] >> [저장] >> 파일의 글꼴 포함 옵션을 조정해주면 된다. 여기서 모든 문자 포함으로 되어 있다면 "프레젠테이션에 사용되는 문자만 포함"으로 바꾸어 주거나, 폰트 설정이 상관 없는 경우라면 파일의 글꼴 포함을 체크해제 하면 된다. [2] 그림 용량 그림의 경우 똑같이, 파워포인트 [파일]>>[옵션]>>[고급]을 클릭하면 된다. 여기에 "이미지 크기 및 품질" 설정해서 파워포인.. 2024. 4. 1.
[PPT] 파워포인트 버전 정보 확인하기 ppt의 버전마다의 호환성 문제로, 종종 내가 사용하고 있는 ppt의 버전을 알아둬야 한다. 본 게시글은 ppt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파워포인트 버전 확인하기 [파일] >> [계정] >> [PowerPoint] 정보를 누르면 해당 PowerPoints가 어떤 버전인지 확인 가능하다. 참고로, 과거에는 출시되는 연도에 맞춰 버전 이름도 설정하였지만 (PPT 2013 --> 약 2013년도에 출시) 2020년 이후 버전부터 2020 버전이 아닌, 365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2024. 4. 1.
한글 표 엑셀로 변환 (줄 바꿈 없이 하는 법) 이번 게시글은 한글로 작성된 표를 엑셀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다. 일반적으로 복사+붙여넣기 해도 상관없지만, 표 크기를 재설정해주어야 하거나 글자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하나하나씩 다시 수정하는 건 번거롭기 때문에 이런 문제없이 표를 옮기는 법에 대해 다루겠다. 또 일반적으로 표 안에 줄바꿈 기호가 있으면 엑셀에서 다른 셀로 생성되는데, 이를 없애는 법에 대해 소개한다. 한컴 2022 버전으로 작성된 게시글입니다 :) 1. 설정 확인 [도구] >> [환경 설정] >> [파일] >> [저장 파일 형식에 인터넷 문서 (*.htm) 추가] 활성화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제대로 읽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일 확인하자. 2. 옮기고자 하는 파일을 htm 형식으로 저장 1. 의 설정이 .. 2023. 10. 22.
PPT 슬라이드 쪽 번호 넣기 PPT 제작할 때, 쪽 번호는 반드시 넣어야 한다. 특히, ppt로 발표 후 질의응답할 때, 교수님들이나 다른 대학원생이 쪽번호를 기준으로 노트테이킹하고 질문을 하기 때문에 쪽 번호는 적어주는 게 좋다. 예전엔 슬라이드 마스터에 들어가서 직접 슬라이드 번호를 넣어줘야 했는데, 최신 버전의 ppt에서 이젠 슬라이드 마스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슬라이드 번호를 넣어줄 수 있다. 방법: 삽입 >> 슬라이드 번호 그 외에도 날짜 및 시간, 바닥글 등을 함께 삽입할 수 있다. 한 번 설정해두면 모든 페이지에 자동으로 쪽 번호가 매겨지므로 아주 편리하다. 2023. 10.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