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 표 엑셀로 변환 (줄 바꿈 없이 하는 법)

For Graduate Student/MS Office & HWP by Mandarim_ 2023. 10. 22.

이번 게시글은 한글로 작성된 표를 엑셀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다.

 

일반적으로 복사+붙여넣기 해도 상관없지만, 표 크기를 재설정해주어야 하거나 글자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하나하나씩 다시 수정하는 건 번거롭기 때문에 이런 문제없이 표를 옮기는 법에 대해 다루겠다.

 

또 일반적으로 표 안에 줄바꿈 기호가 있으면 엑셀에서 다른 셀로 생성되는데, 이를 없애는 법에 대해 소개한다.

 

한컴 2022 버전으로 작성된 게시글입니다 :)


1. 설정 확인

[도구] >> [환경 설정] >> [파일] >> [저장 파일 형식에 인터넷 문서 (*.htm) 추가] 활성화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제대로 읽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일 확인하자.

환경설정, htm 문서
환경설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2. 옮기고자 하는 파일을 htm 형식으로 저장

1. 의 설정이 끝났다면,

[파일] >> [다름 이름으로 저장하기] >> [인터넷 문서] 형식으로 저장한다.

한글에서 인터넷 문서로 저장
인터넷 문서로 저장하기


3. 엑셀에서 저장한 htm 파일 불러오기

이제 마지막으로 저장한 인터넷 문서 파일을 엑셀에서 불러오면 된다.

엑셀에서 인터넷 문서 불러오기
엑셀에서 인터넷 문서 불러오기


4. 비교

깨짐없이 한글의 표가 비슷하게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글표와 엑셀표 비교 1한글 표와 엑셀 표 비교 2
한글 표와 엑셀로 옮겨진 표 비교


Tip. 구분자로 인식하여 여러 셀에 나눠지는 경우

이제 표를 옮기다 보면, 각 "구분"마다 하나의 열에 있으면 좋겠는데, 아래 그림처럼 5번이 3줄에 나눠져서 입력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구분은 한글 파일의 표 안에서 "엔터"키가 입력되어 있어서 엑셀에서 다른 줄로 나타나는 것인데,

이를 수정하는게 정말 번거롭다.

그러니 처음부터 한글 파일의 표 안에서 "엔터"를 없애고 저장하는 것이 좋다.

팁1 엑셀표에서 한 줄이 여러 줄로 입력된 경우
한글에선 하나의 열이 엑셀에선 여러 열에 입력된 경우

 

한글 파일에서 문서 전체에서 찾아 바꾸기 [ctrl]+[h]를 해준다.

찾을 내용엔 "^n" (enter), 바꿀 내용엔 " " (space) 를 입력해 주고, [모두 바꾸기]를 클릭한다.

찾아바꾸기 엔터없애기
찾아바꾸기 기능을 이용해, 엔터 삭제.

 

다시 저장한 인터넷 문서 파일을 엑셀로 불러오면 다음과 같이 불편함 없이 엑셀로 불러올 수 있다.

최종
최종

 

반응형